본문 바로가기

믿음사랑 이야기/민간

[전주 서신동 한의원]여름에 땀 많이 나시는 분들은 칡을 드시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믿음사랑한의원입니다. 요즘 날씨가 습하고 더워서 다들 고생이 많으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부디 건강 챙기시고 여름 잘 보내시길 기도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시기의 기운을 습열(濕熱)이라고 표현하는데요. 습열이 심할 때 양인 체질 분들이, 양인 체질이면서 음혈부족 증상이 있는 분들에게 여러가지 문제들이 많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보약 처방보다는 양인 체질 분들 치료약 문의가 훨씬 많이 들어오게 됩니다. 음혈부족으로 고생하는 양인 체질분들이 여름에 특히 많이 호소하는 증상이 바로 땀입니다. 머리 혹은 얼굴쪽으로 비오듯이 흐르는 땀 때문에 방법이 있냐고 문의하시는 경우가 곧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두면부로 몰린 열을 내려주면서, 부족해진 음혈을 채워주는 처방을 쓰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런데 가끔 환자 분들과 이야기할 때, 그러니까 땀이 많이 나서 고생이라고 하시면서 방법이 없냐고 문의하시는 환자 분들과 이야기할 때 유심히 들어보면 칡을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칡의 뿌리인 갈근을 한약재로 많이 쓰는데요. 칡 자체가 민간 약재로 효과가 여러가지 알려져 있어서 각종 관절 통증 및 어깨 통증에 건강기능식품으로 드시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드시는 것 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데, 간혹 문제가 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땀이 나시는 분들은 칡을 피하셔야 합니다. 칡 자체가 발한(發汗)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땀을 멈춰야 하는데 계속 땀을 나게 하는 것을 드시고 있으니 땀이 더 날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갈근은 본초학 책에서 발산약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발한을 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일본인들이 감기에 걸렸을때 갈근탕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몸살 감기로 인해 열이 오를때 해열을 시키는데, 해열을 발한을 통해서 시킵니다. 즉, 땀을 내는 과정으로 열을 떨어뜨린다는 것입니다. 그 이야기는 반대로 말하면 감기가 없는 상태에서 먹게 되면 땀이 자연스럽게 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감기에 작용하는 발한은 인체 하부가 아닌 인체 상부, 머리와 얼굴, 목과 같은 두면부위에서 땀이 나게 하는 것입니다. 



가뜩이나 양인 체질분들이 열이 두면부로 올라오는데, 거기에 발한을 시키는 칡까지 복용하게 되면 땀 자체가 쉬지 않고 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땀이 많이 나는 분들이 감기 증상도 없이 칡을 건강에 좋다는 말만 믿고 드신다고 하면 말리고 싶습니다. 한약 치료도 중요하지만, 실제 몸의 상황과 맞지 않는 음식 및 건기식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궁금하신 사항은 내원하시면 더 자세히 상담하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